temp table
[DB]/Oracle 2015. 2. 20. 14:57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tempdata(
song_id varchar(10)
)
on commit delete rows;
'[DB] > Orac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QLLDR (0) | 2015.02.20 |
---|---|
Join Update (0) | 2015.02.20 |
spool을 이용한 결과 txt 저장 (0) | 2015.02.20 |
'[DB]'에 해당되는 글 5건temp table[DB]/Oracle 2015. 2. 20. 14:57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tempdata( song_id varchar(10) ) on commit delete rows; '[DB] > Orac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QLLDR[DB]/Oracle 2015. 2. 20. 14:49[dump.ctl] load data infile '/home/test/dump.lst' replace into table TB_NAME fields terminated by ',' (SONG_ID,REG_DATE,UPDATE_DATE,SVC_YN) sqlldr 아이디/비밀번호@장비명 control=melon_dump.ctl log=dump.log data=dump.lst '[DB] > Orac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oin Update[DB]/Oracle 2015. 2. 20. 14:30[Update] UPDATE TBABC10 A SET (A.ITEM_NAME, A.ITEM_AMT) = (SELECT B.ITEM_NAME, B.ITEM_AMT FROM TBABC20 B WHERE B.ITEM_CD = A.ITEM_CD) WHERE EXISTS (SELECT 'X' FROM TBABC20 B WHERE B.ITEM_CD =A.ITEM_CD); '[DB] > Orac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qlite[DB]/Sqlite 2015. 2. 20. 14:14http://www.sqlite.org/datatype3.html http://www.sqlite.org/lang.html http://www.androidpub.com/191797 spool을 이용한 결과 txt 저장[DB]/Oracle 2015. 2. 20. 13:35spool 기능을 이용해서 sql 질의 결과를 txt로 저장하기. >set echo off newpage 0 space 0 pagesize 0 feed off head off trimspool on; >spool /home/***.txt; >SELECT 문등등 실행할 SQL문 실행; >spool off; sql>SET PAUSE ON <<스크롤 옵션 리눅스 명령어에 more같은기능 sql>SET LINESIZE 500 <<화면 라인사이즈 지정 ▷파일명령어 EDIT {파일명} <<파일 E 는 버퍼의 내용을 편집기로 불러들인다.(쉽게말해 메모장에 지정 소스가 뜨네요) SAVE {파일명} <<버퍼의 내용을 파일에 저장한다 GET {파일명} <<파일의 내용을 버퍼로 읽어온다.(실행시 콘솔에 파일내용출력) SPOOL {파일명} <<조회결과를 파일에 저장 (리눅스에서 SCRIPT 파일명 ctrl+D 역활) SPOOL OFF START {파일명} 혹은 @{파일명} <<저장된 SQL 스크립트를 실행 CONNECT {사용자명/암호} <<다른 사용자로 접속할때 ▷편집명령어 A {문자스트링} 현재 버퍼의 끝에 새로운 문자 스트링을 추가 C 현재 행읜 문자열 치환 예)c/10/20 쿼리중 10을 20으로 치환 L 이미 실행된 sql문의 내용을 조회시 사용 DEN n 지정라인의 완전히 삭제 N(숫자) 숫자값은 이미 작성된 SQL문의 해당되는 내용을 보여줍니다. CLEAR BUFFER 버퍼의 내용을 삭제합니다. ▷실행 명령어 START {파일명} @ {파일명} RUN {파일명} / '[DB] > Orac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